티스토리 뷰
목차
반응형
임신 전 건강을 준비하는 모든 분들을 위한 국가 지원 제도가 있습니다. 바로 보건복지부의 임신 사전건강관리 지원사업입니다. 임신 전 필요한 건강검사를 받고 비용까지 지원받을 수 있는 만큼, 결혼이나 출산을 준비 중이거나 향후 임신을 계획 중인 분들이라면 꼭 확인하시기 바랍니다.
1. 임신 사전건강관리 지원사업이란?
임신 전 건강검진을 통해 임신 및 출산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질병 또는 건강위험요인을 조기에 발견하고, 그에 따른 적절한 관리를 통해 건강한 임신과 출산을 유도하는 것이 목적입니다.
해당 사업은 전국 보건소를 통해 진행되며, 검진 후 발생한 비용의 일부를 현금으로 지원하는 방식입니다.
또한 여성뿐 아니라 남성도 대상에 포함되며, 난소기능검사, 정액검사 등 생식기 관련 검사를 국가가 지원합니다.
- 담당부처: 보건복지부 출산정책과
- 기준연도: 2025년
- 지원주기: 1회성
- 제공유형: 현금지급
- 문의번호: 129
2. 지원 대상 및 선정 기준
✅ 지원 대상
- 만 20세~49세 이하의 남녀 중 건강검사를 희망하는 자
- 결혼 여부, 자녀 유무 관계없이 지원 가능
- 내국인 배우자가 있는 외국인도 조건 없이 신청 가능
⚠️ 선정 기준
- 보건소에서 지원대상 여부 확인
- 검사의뢰서 발급 후 지정 병의원 방문
- 소득 무관, 선착순 예산 소진 시 조기 마감 가능
3. 서비스 내용 및 지원 금액
국가에서 지정한 의료기관에서 임신 관련 주요 검사를 받고, 검사비 일부를 지원받습니다.
🔬 검사 항목
- 여성: 난소기능검사(AMH), 부인과 초음파
- 남성: 정액검사
💰 지원 금액
- 여성: 최대 13만원
- 남성: 최대 5만원
※ 검사는 1회에 한해 지원되며, 중복 신청은 불가합니다.
4. 신청방법 및 처리 절차
📝 신청 방법
- 주소지 보건소 방문 신청
- e보건소 홈페이지에서 온라인 신청 가능
- 검사의뢰서를 받은 후 병의원에서 검사 진행, 보건소에 청구
📋 처리 절차
- 초기 상담 및 서비스 신청 (보건소)
- 대상자 통합조사 및 심사
- 대상자 확정 및 의뢰서 발급
- 지정 병의원 검사 시행
- 보건소 비용 지원 및 사후관리
5. 전화문의 및 관련 사이트
- 보건복지상담센터: ☎ 129
- e보건소 바로가기: https://www.e-health.go.kr
- 근거법령: 모자보건법
반응형